알아두면 쓸모있는 세무정보

증여세란에 대해 알아보아요. 납부의무자, 신고방법, 신고기한 등..

eun_genie♥ 2025. 3. 18. 13:57
반응형

 

<증여세에 대해 알아보아요. 납부의무자, 신고방법, 신고기한>

1. 증여세란?

2. 증여세 과세대상

3. 증여세 납부의무자

4. 증여세 신고방법

5. 증여세 신고기한

6. 증여세 납부방법

 

 

◎증여세란?


증여세란 증여자로부터 무상으로 재산을 받은 경우 수증자가 그 재산에 대해 부담하는 세금을 말합니다.

타인으로부터 재산을 무상으로 받은 '수증자'는 재산에 대한 증여세를 신고·납부해야 하는 납세의무가 있습니다.

 

 

◎증여세 과세대상


1. 거주자인 경우, 국내외 있는 모든 증여재산에 대해 수증자가 납부할 의무가 있음.

2. 비거주자인 경우, 국내에 있는 모든 증여재산은 수증자가 납부할 의무가 있으며, 거주자로부터 증여받은 국외에 있는 모든 증여재산은 증여자가 납부할 의무가 있음.

 

 


◎증여세 납부의무자


1. 거주자일 경우 수증자

2. 비거주자일 경우, 국내에 있는 모든 재산은 수증자가 납부의무자, 거주자로부터 증여받은 국외에 있는 모든 재산은 증여자가 납부의무자 

 

-증여세 연대납부

원칙적으로 재산을 증여받은 수증자가 증여세를 납부하지만, 다음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한다면 수증자가 납부할 증여세에 대하여, 증여자가 연대하여 납부할 의무가 있습니다.

1. 수증자의 주소 또는 거소가 분명하지 아니한 경우, 조세채권의 확보가 곤란할 시

2. 수증자가 증여세를 납부할 능력이 없다고 인정되는 경우, 강제징수를 하여도 조세채권의 확보가 곤란할 시

3. 수증자가 비거주자인 경우

 


◎증여세 신고방법


1. 증여세 전자신고 방법

홈택스 접속 > 세금신고 > 증여세신고 > 일반 증여세 신고 > 정기신고 

 

2. 세무서에 신고

증여세 신고서는 제출일 현재 기준으로 수증자의 주소지를 관할하는 세무서에 제출합니다.

 

단, 아래의 경우 다른 세무서에 제출할 수 있습니다.

1. 증여자의 주조시 관할 세무서

수증자가 비거주자일 경우, 수증자 주소 및 거소가 분명하지 않을 경우, 명의신탁재산의 증여의제의 경우

2. 증여재산의 소재지 관할 세무서

수증자, 증여자 모두 비거주자일 경우, 주소 및 거소가 분명하지 않은 경우

 

 

 

◎증여세 신고기한


증여세 납부의무가 있는 자는 증여세 신고서를 증여일이 속하는 달의 말일부터 3개월 이내 관할 세무서에 제출해야 합니다.

 

-증여재산 유형별 취득시기

재산구분 증여재산의 취득시기
등기·등록을 요하는 재산 소유권의 이전 등기 ·등록 신청서 접수일
증여 목적으로 수증인 명의로 완성한 건물이나 취득한 분양권 사용승인서 교부일 ·사실상 사용일 · 임시사용 승인일 중 빠른날
타인의 기여에 의하여 재산 가치가 증가한 경우 재산가치 증가 사유 발생일
주식 및 출자지분 객관적으로 확인된 주식 등 인도일
다만, 인도일이 불문명하거나 인도전 명의개서 시 명부 등의 명의개서일
무기명채권 이자지급 등으로 취득사실이 객관적으로 확인된 날
다만, 불분명시 이자지급 ·채권상환을 청구한 날
위 외의 재산 인도한 날 또는 사실상의 사용일

 

 

◎증여세 납부방법


증여세 납부는 자진납부서를 작성하여 증여세 신고기한 이내 가까운 은행이나 우체국에 납부하면 됩니다.

 

1. 자진납부서 작성하여 직접 납부

2. 신용카드 납부

3. 홈택스를 이용한 국세 전자납부

 

증여세는 일시에 납부하는 것이 원칙이나 과중한 세부담을 분산시켜 증여재산을 보호하고, 납세의무의 이행을 쉽게 하기 위해 일정 요건이 성립되었을 시 분할하여 납부할 수도 있습니다.

분납 납부할 세액이 1천만원 초과하면 신고기한이 지난 후 2개월 이내 그 세액을 분할하여 납부

1. 납부할 세액이 2천만원 이하일 때, 1천만원을 초과하는 금액
2. 납부할 세액이 2천만원 초과할 때, 그 세액의 50%이하의 금액
연부연납 납부해야 할 세액이나 납세고지서 상의 납부세액이 2천만원을 초과하는 경우 아래 요건을 모두 충족하면 수증자의 주소지 관할하는 세무서장으로부터 허가 받아 일정기간 동안 분할하여 납부
1. 증여세 납부세액이 2천만원 초과
2. 연부연납을 신청한 세액에 상당하는 납세담보 제공
3. 증여세 연부연납 신청기한 내 연부연납 허가 신청서 제출

 

반응형